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AOP
- AWS
- mock
- JUnit5
- 서블릿
- MSA
- Paging
- Spring Batch
- Docker
- CircuitBreaker
- 의존성
- 미션
- 스프링 부트
- yml
- 스프링부트
- 코드리뷰
- 백준
- 우아한테크코스
- 세션
- 자바
- 우아한세미나
- Level2
- 프리코스
- JPA
- HTTP
- 우테코
- 레벨2
- 트랜잭션
- 프로그래머스
- REDIS
- Today
- Total
목록백앤드 개발일지 (73)
늘
단방향 해시 함수(one-way hash function)의 다이제스트(digest) 보통 단방향 해시 함수는 수학적인 연산을 통해 원본 메시지를 변환하여 암호화된 메시지인 다이제스트를 생성한다. 원본 메시를 안다 -> 암호화된 메시지를 알 수 있다. 암호화된 메시지를 안다 -> 원본 메시지를 모른다. 한쪽으로만 알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처리를 '단방향성'이라고 한다. 단방향 해시 함수는 예를 들어 비밀번호가 asd일 때, 해시 알고리즘인 SHA-256을 이용하여 암호화할 때, f52bvs32c2f3f86kk88vc6c490628285a482af15ascb19541d54saz526a3f6c7 와 같이 나온다면 asd1을 암호화하면 fb8c2e2b85ca81eb4350199faddd983cb26af306..
Spring REST Docs는 테스트가 통과해야 문서화가 된다. API문서 자동화에는 대표적으로 swagger와 Rest docs가 있는데 개인적으로 RestDocs를 선호한다. 장점 Spring REST Docs는 테스트가 성공하지 않으면 문서를 만들 수 없습니다. 즉, 반 강제로 테스트를 해야 하고 이를 통해 신뢰도 높은 api문서가 나온다. 실제 코드에 추가되는 코드가 없습니다. - swagger를 보면 프로덕션 코드에 어노테이션이 덕지덕지 붙어있는데, 이는 관심사의 분리가 실패된 케이스가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들어서 RestDocs를 선호한다. 커스터마이징 가능 문서화에 사용할 테스트 도구 여기서 API문서화 할때는 Controller테스트를 통해서 생성하므로 RestAssured보다는 Moc..
@Mock @ExtendWith(MockitoExtension.class)를 클래스 위에 붙여준다. @ExtendWith(MockitoExtension.class) public class MockTests { @Mock private OrderRepository orderRepository; @InjectMocks private OrderService orderService; } @InjectMocks를 사용하면 @Mock으로 만들어진 인스턴스들을 자동으로 주입해준다. (위 예시에서는 OrderService가 OrderRepository를 주입받는 클래스 존재) @MockBean @SpringBootTest public class MockTests { @MockBean private OrderReposi..
빈이 생성된 이후 추가로 호출되는 콜백들이 있는데요. Spring bean lifecycle, Spring bean hook 같은 키워드로 검색해보시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저번에 테스트 격리에 대해 학습하면서 토미가 키워드를 주셨는데, 오늘은 이 키워드를 정리해보려고 한다. 빈 생성 IoC컨테이너가 만들어진다. -> ComponentScan을 통해 빈으로 등록할 객체들을 찾는다. IoC 컨테이너 안에 빈을 등록한다. 그리고 의존관계 주입을 하기 전에 준비 단계가 있다. 이 준비 단계에서 객체 생성이 일어난다. 생성자 주입: 객체의 생성, 의존관계 주입이 동시에 일어남 setter, Field 주입: 객체의 생성 -> 의존관계 주입으로 라이프 사이클이 나누어져 있음 스프링 의존관계 주입이 완료된 시점 ..
Reflection API란? 구체적인 클래스 타입을 알지 못해도 그 클래스의 정보(메서드, 타입, 변수 등등)에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자바 API다. 사용하는 Library, Framework, API, Feature Jackson, GSON 등의 JSON Serialization Library Log4 j2, Logback 등의 Logging Framework Apache Commons BeanUtils 등의 Class Verification API Spring의 @Autorwired와 같은 DL, DI 기능 (: processInject(), inject() Method ) Spring Contatiner의 BeanFactory에서 사용 내부적으로 Spring의 ReflectionUtils라는 A..
서블릿을 만들려면 HttpServlet 클래스를 상속받으면 되나? - 서블릿 프로그래밍의 핵심은 Servlet 인터페이스를 이해해야 한다. 서블릿 웹 브라우저 웹 서버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웹서버와 웹 애플리케이션 사이에서 CGI규칙에 따라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자바로 만든 CGI 프로그램을 서블릿이라고 부른다. 서블릿 컨테이너(톰캣) 이런 서블릿의 생성, 실행, 소멸 등 생성 주기를 관리하는 프로그램을 서블릿 컨테이너라고 한다. 서블릿은 한 번 생성되면 웹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할 때까지 유지한다. 서블릿 컨테이너가 서블릿을 대신하여 CGI 규칙에 따라 웹 서버와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따라서 개발자는 더 이상 CGI규칙에 대해서 알 필요가 없다. 대신 서블릿 컨테이너와 서블릿 사이의 규칙을 알아야 한다. 서..
ResponseEntity의 body에 객체를 넣고 보내주면 json형식으로 주고받아진다. @Controller public class HelloController { @GetMapping(path = "/hello") public ResponseEntity hello() { MoveDto moveDto = new MoveDto("start", "finish"); return ResponseEntity.ok(moveDto); } } @Controller를 통해서 Json이 반환되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흔히들 알기론 controller는 데이터를 Model에 담고 반환할 view를 찾는 방식이고 restController는 단순히 json형식의 데이터만 주고받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RestC..
@RequestBody @RequestBody 애너테이션의 역할은 클라이언트가 보내는 HTTP 요청 본문(JSON 및 XML 등)을 Java 오브젝트로 변환하는 것이다. 기본 생성자만을 가지고 json값을 Java객체로 변환해준다. MappingJackson2HttpMessageConverter 내부의 ObjectMapper를 통해 json값을 Java객체로 역직렬화를 한다. 직렬화가 가능한 클래스들은 기본 생성자가 항상 필수입니다. 즉, ObjectMapper를 통해 역직렬화가 이루어지므로 기본 생성자가 필수라는 말이다! 그렇다면 기본 생성자만을 보고 어떻게 필드를 알고 매핑을 해주는 것일까? Jackson ObjectMapper는 Java 오브젝트의 필드에 맵핑할 때 getter혹은 setter매서드..
테스트 더블 더블이란: 할리우드에서 배우들의 대역을 해주는 사람을 더블이라고 한다. 그래서 말 그대로 테스트할 때 실제 도메인(주연)을 사용하지 않고 Double(대역)을 사용해서 테스트를 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테스트 더블에는 크게 위와 같이 Dummy, Stub, Spy, Mock, Fake로 나눠진다. Dummy 인스턴스화 하여 구현한 가짜 객체 기능 구현이 안돼있다. Stub dummy를 이용하여 실제로 동작하는 것처럼 보이게 만드는 객체 기능 구현이 안돼 있다. 상태 검증을 위한 객체이다. 상태 검증이란 메서드가 수행된 후, 객체의 상태를 보며 올바르게 동작했는지 확인한다는 뜻입니다. 객체를 다양한 조건으로 값을 만들어주고 던져줘도 항상 동일한 값을 반환 Spy 스파이처럼 기록을 하는 역할을 가..
평소에 runtimeOnly는 런타임 때 작동하겠지, implementation은 gradle이 돌아갈 때부터 작동하겠지라고 대충 생각하고 넘겨와서 그런지 막상 퀴즈를 받으니 대답을 못하겠다.. 이번 기회에 공부하고 정리해보려고 한다. 일단 gradle에 의존성부터 확인해 보았다. 일단 눈에 띄었던 것은 빨간 박스로 표시한 것처럼 runtimeClasspath에 implementation으로 선언된 의존성 파일들이 들어있었다. 대충 implementation은 시작부터 runtime때까지 의존성이 살아있는구나(?)라고 생각했다. CompileClasspath 에러 없이 컴파일을 하기 위해 필요한 클래스와 jar들의 위치를 나타낸다. compileClasspath만 잘 설정했다고 애플리케이션이 잘 작동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