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Paging
- 세션
- 프로그래머스
- HTTP
- 자바
- 백준
- Docker
- 우테코
- Spring Batch
- AOP
- JUnit5
- mock
- 스프링부트
- AWS
- JPA
- MSA
- 코드리뷰
- REDIS
- 레벨2
- 트랜잭션
- 의존성
- 우아한테크코스
- 스프링 부트
- 미션
- 서블릿
- yml
- 프리코스
- CircuitBreaker
- 우아한세미나
- Level2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session (1)
늘
[Spring Security] Jwt Token & Session + refreshToken
Jwt와 Session방식의 차이에 대해서 공부했다. 우선 우리가 사용하는 스프링 부트는 Session기반으로 작동되어 있다고 한다. 그래서 평소 자연스럽게 이용했던 세션을 통한 인증 관리가 아닌 이번에는 JWT를 이용하여 회원 인증과 권한을 관리해보려고 한다..! 그전에 잠깐 Session&Cookie 기반 인증방식과 Token(jwt) 기반 인증 방식의 차이를 간단하게 설명해 보겠다. Session & Cookie 유저가 로그인하고 세션이 서버 메모리 상에 저장된다. (서버 단에서 메모리 차지가 클 수 있다.) session Id를 기준으로 정보를 전달한다. 브라우저에 쿠키로 session Id를 저장 -> 쿠키로 보내진다. JWT(Json Web Token) 방식 Header, Payload, Si..
백앤드 개발일지/스프링부트
2021. 3. 13. 1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