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HTTP
- 우테코
- JUnit5
- Docker
- yml
- REDIS
- Level2
- 의존성
- Spring Batch
- JPA
- Paging
- 자바
- 레벨2
- 백준
- 우아한세미나
- AWS
- 프리코스
- 프로그래머스
- MSA
- 코드리뷰
- 서블릿
- 우아한테크코스
- 스프링부트
- 미션
- 트랜잭션
- CircuitBreaker
- 스프링 부트
- mock
- AOP
- 세션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HMAC (1)
늘
jwt토큰 디코딩하면 페이로드 값을 다 아는데 왜 서명을 하는걸까?
jwt 토큰이란 JWT(JSON Web Token)는 당사자 간에 정보를 JSON 객체로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한 토큰이다. 이 정보는 디지털 서명되어 있으므로 확인하고 신뢰할 수 있습니다. JWT는 HMAC 알고리즘을 사용하거나 RSA 또는 ECDSA 를 사용하는 공개/개인 키 쌍을 사용하여 서명할 수 있습니다. 한가지 오해 처음에 jwt를 공부할 때, 어차피 디코딩하면 헤더에서 토큰 타입이나 알고리즘을 알 수있는데 왜 서명을 하는가였다. 그이유를 설명하자면 jwt의 서명의 목적을 생각해야한다. 디지털 서명되어 신뢰할 수 있는 이유는?(서명하는 이유) JWT 토큰은 자체적으로 토큰 유효성 검사가 가능하다! 즉, HMAC또는 RSA와 같은 공개 또는 비대칭키를 통해 서명하기 때문이다. 단순히 JWT토큰을 ..
백앤드 개발일지/웹, 백앤드
2022. 9. 1. 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