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우아한세미나
- Spring Batch
- 미션
- 서블릿
- 세션
- 스프링 부트
- 프리코스
- 백준
- JPA
- Level2
- JUnit5
- Docker
- 우아한테크코스
- MSA
- 트랜잭션
- HTTP
- 자바
- yml
- CircuitBreaker
- AWS
- Paging
- 스프링부트
- 코드리뷰
- mock
- 프로그래머스
- 레벨2
- 우테코
- REDIS
- AOP
- 의존성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복제 (1)
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y397c/btrid7hOrUT/bYAJMC11wKZ04mlEeyPGn0/img.png)
대용량 데이터 처리하는 방법에 여러 방법이 있다. Load Balancer Request를 연결된 서버들에게 나누어줌 장애 발생시 해당 LB(Load Balancer)에게 할당된 IP를 다른 LB에게 넘겨줌 DBMS 2개(Master-Slave = Primary-Secondary) primary(실제 서비스) primary에서 장애 발생시 secondary가 primary로 되고, 장애가 해결되도 primary는 secondary 역할을 하게 된다. primary(CUD), secondary(R) 두대를 두고 primary의 데이터를 secondary로 계속 Replication을 통해 복제한다. Object Storage Service (File-Server) 파일을 저장할 서버를 둘 경우 총 3개의 ..
백앤드 개발일지/데이터베이스
2021. 10. 21. 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