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자바
- 세션
- CircuitBreaker
- 우아한세미나
- yml
- 서블릿
- 미션
- 트랜잭션
- HTTP
- 프리코스
- 스프링 부트
- Docker
- Spring Batch
- 레벨2
- JPA
- 우테코
- Level2
- JUnit5
- AWS
- REDIS
- AOP
- 우아한테크코스
- MSA
- 코드리뷰
- 스프링부트
- mock
- Paging
- 의존성
- 프로그래머스
- 백준
Archives
- Today
- Total
늘
DTO? DAO? 본문
728x90
예~전에 공부한 내용이지만 복습할 겸 글을 적어보려고 한다.
우선 이해하기 쉽게 정의를 해보자면
- DAO: 실제 DB에 접근하는 객체
- DTO: DB에서 얻어 Service나 Controller 등으로 보낼 때 사용하는 객체
DAO는 최근(?)에는 Repository라고 부른다. 말 그대로 저장소인데 DB에 접근하는 객체(엔티티)로서 이러한 엔티티를 설계할 때는 주로 @setter를 추가하지 않는다. DB와 연관된 만큼 마음대로 수정되면 에러가 발생하기 쉽기 때문이다...!
주로 Builder등 다른 방식으로 이용하는데 이와 관련된 내용도 할 말이 많아서 다음에 포스팅하겠다.!
DTO는 DAO로부터 받은 정보들을 controller나 service단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객체이다. 따라서 @getter @setter를 자유롭게 사용해도 괜찮다. 다만 아무리 setter를 사용해도 된다고 해도 너무 아무렇게나 setter를 사용하면 가독성이 크게 떨어진다. 따라서 기왕이면 함수 이름을 명확히 해줘서 사용하는 게 좋을 것 같다. ex) upLikes(좋아요 증가) //
DTO는 InnerClass로 생성할 수도 있고 관리할 DTO가 많으면 따로 패키지를 구성해도 괜찮다고 한다..! 가볍게 객체 정보들을 옮기고 다니는 수레(?) 정도로 생각하면 될 것 같다.
나중에 양방향 연관관계 매핑을 할 때 잘 이용해야 한다!(무한 루프를 피하기 위해서..!)
Reference
728x90
'백앤드 개발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Swagger2 (0) | 2021.07.19 |
---|---|
GitLab 버전 관리와 협업 하면서 막혔던 부분 기록 일지 (0) | 2021.07.12 |
TDD, BDD, DDD (0) | 2021.07.04 |
클린 코드란? (0) | 2021.06.29 |
CI와 CD 그리고 Jenkins? 어디서 들어는 봤는데... (0) | 2021.04.25 |
Comments